본문 바로가기

ABOUT

BLINK magazine features the latest exhibitions and artists in the international spotlight.
블링크 매거진은 해외전시동향에 맞춰 현재 가장 주목받고 있는 작가들의 최신 작업들을 엄선하여 싣고 있습니다.


WWW.BLINKREFLEX.COM
WWW.FACEBOOK.COM/BLINKMAGAZINE
WWW.TWITTER.COM/BLINKREFLEX
WWW.INSTAGRAM.COM/BLINKMAG

about the publisher
www.linkedin.com/in/kimaram

BLINK is an independent and non-profit, distinctive photography magazine, published monthly. It is not just a typical art magazine. It is more like a monthly art book project. BLINK serves as exhibition space that embraces every aspect of photography: from documentary to fashion, from contemporary to historical, from world-famous photographers to young talent. BLINK features the latest exhibitions and artists in the international contemporary photography spotlight by a straightforward layout, high-quality offset printing, and no advertising, in-depth interviews with artists in English. Our audiences predominantly consist of creative professionals: artists including photographers, designers, photo editors, art buyers, art directors, photo reps and curators.

I send the magazine to Galleries in US, Europe, Japan, China, Aus. BLINK support artists whom BLINK loves and the magazine works such as their showcase or portfolio, small exhibition space. BLINK will not stop to promotes artists we support forever.

What I do is just gathering what I love and showing it to this world and kicking boring daily routine out with great artists whom I love and support and take care of. That's all I need to do. Because of one simple reason, they make my eyes happy.

국내 대부분의 예술잡지들은 능력없고 책임감없는 편집진들의 못난 재량과 더불어 매너리즘으로 10년 그 이전의 해외작품들만을 게재하며 현대사진을 논하고 자신들의 협소한 시각을 볼품없는 단어의 나열로 독자들을 현혹시키며 강요하고 있습니다. 계속하여 그런 기만에 순진하게 속아넘어가는 꼭두각시로 남아 있고 싶으신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그들은 그들 스스로가 우물 안 개구리인것도 모자라 당신까지 우물 안에 가두고 있습니다.
블링크 매거진은 해외 작가, 갤러리, 페스티벌, 에이젼시 등과의 탄탄한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소통하고 있습니다. 발행비는 이전호 판매금과 잡지 기고, 작가 섭외, 전시 기획 등의 작업으로 받은 페이에서 충당하고 있습니다.
예술에 절대적인 감상법 따위는 없습니다. 본인 스스로의 방법이 정답입니다. 타인의 평론, 해설 등은 당신에겐 필요없는 것입니다. 그저 하나의 읽을거리정도는 될 수 있겠지요.
국내는 예술 향유에 대한 빈부격차가 너무나 큰 것이 사실입니다. 예술은 예술가만의 것이 아닙니다. 우리 모두가 당연히 즐겨야 할 그리고 누려야 할 놀이거리입니다. 사진 속에 담겨져 있는 이야기로 하여금 더욱 빛을 발하는 사진이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역시 사진에서 우선시 되어야 하는 점은 사진이 지닌 시각적 이미지입니다. 사진은 시각예술이기 때문이죠. 흥미롭지 않은 모습의 사진에 어떤 흥미가 생길 수 있고 어떤 다양한 담론들이 생성될 수 있을까요. 볼품없는 작업에 의미부여하겠다고 온갖 텍스트들이 달라 붙게 되는 겁니다.절대적으로 모두에게 좋은 작품은 있을 수 없습니다. 예술은 취향이기 때문이죠. 나에게는 걸작인 작품이 다른 이에게는 졸작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너는 사진을 공부하지 않아서 사진을 볼 줄 모르는거다 이 작품이 얼마나 대단한건데 라는 궤변에 낙심하거나 초라해질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당신에게는 스스로의 두 눈이 있지 않나요. 그거면 충분합니다. 적어도 제가 보여드리는 작품들은 스스로의 눈을 통해 능동적으로 감상해보시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Interviewed by Heidi Volpe of A Photo Editor

Blink magazine a labor of love by Korean native Kim Aram. The magazine features personal work by emerging, established and undiscovered photographers. Issue 5 has just been released.

Heidi: How do you select the images, do you choose a theme for each issue?
Kim: I trust myself. It’s simple, some work makes my heart beat really fast. I study it and ask myself: Are you going to spend $10,000 on this photograph? Even if I think I’d spend $1000, I would select it.  That said, we don’t pay for any of the images. I try and make sure that the images don’t bore me, gathering work for Blink is like collecting art for a gallery of sorts. I do have one rule: I don’t accept commissioned work. I accept only personal work. When selecting work, a resume, a career, receiving awards doesn’t affect my choices. I  sincerely love portraiture, I think the human being is the most interesting subject in this world. There are no themes for each issues. I actually considered it but thought that giving themes for each issues would put limitations on select artwork and there were already so many magazines doing that format with themes.

How many submissions would you say you turn down?
I turn down quite a few. It doesn’t mean that I don’t like their work. I just don’t want to be a lazy editor. I also have another rule, I promised by myself  to include one out of every 50 submissions for BLINK.  I try to pick just one or nothing among  the 50 It’s  just like non-objevtive promising. I can’t respond to  all of  the submissions. Please excuse me for that, I do respect all artists.

What in your eyes is the most exciting aspect of photography for you right now?
Everyone has camera now. It means everyone is able to take a photograph.
It seems like it’s a fair chance for everyone to be creative. That said,  it’s that tiny little  thing which not easy to achieve to make your photograph different. That is exciting. Artists need to have their own eye and point of view for creating their own world.

Where can I find a copy of the magazine in the US? Or do I have to subscribe? Do you have a digital version as well?We are working on an ipad version of BLINK, so I will start to publish a digital version of BLINK but I am still examining it thoroughly because I believe in the high value of a paper magazine. You can get your own copy on the website at www.blinkreflex.com We have a safe and fast paypal and can send anywhere in the world.

I am making a distribution list for other countries now. The problem is it’s very expensive to ship. We don’t have a lot of money or a big staff. I do ALL the publishing for BLINK. I do the design layout, select the artwork, contact the artists, direct exhibitions, promotion, business, publisher’s talks at galleries and the marketing. I did send the magazine to art fairs and galleries because I really would love to give BLINK to people so they can feel the paper in their hands, see it with their own eyes. I know if they just grab BLINK, their next move is falling love with BLINK. Some people promised me they would bring BLINK to their venues. I was so naive, after receiving magazines, they didn’t contact me. I was disappointed in them and disappointed in myself. I really need some people I can trust.

Were you always involved photography somehow?
When I was kid, I always trusted that I was an artist. Being a photographer was high priority but I had to let it go for financial reasons. (here, being artist much worse than other countries.) I spent less time making my own artwork,  I spent more time appreciating  artwork by other people. I began writing about photography too, just some impressions about their work. I did this for free and  I kept the focus positive. Art is so much about personal taste and preference. I do think photography is like poetry and one image can speak over a thousand words. Just like the old saying. hahaha”

For your facebook and twitter feeds where is that content coming from? selected artists? fans? Do you feed those outlets in between issues with work you liked but did not select for the printed edition?
I don’t post anything about featuring artists for the next issue. It has to be a secret before being published. Sometimes I use Facebook to help me select an artist. I have so many friend requests from Facebook I am in a panic! I don’t use twitter to search for artists. I tweet information about BLINK and news of featured artists and other happenings in art world, or readers of BLINK. I tweet in Korean so would not be worth it to people who can’t read Korean. You can have a conversation with me about BLINK via direct message, I use that a lot or if you want to update news about BLINK, If you want, like BLINK on facebook at here or see it here

Where is your funding coming from since you have no advertising?

That is the biggest difficulty. I spent 15 years of my savings to create and publish BLINK. I am waiting for sponsors or advertisers. If I get over the break-even point with BLINK, I am going to bring down the price of the magazine or increase its circulation. Last month I recruited donations with Korean version of Kickstarter and I got one third of the cost for publishing ISSUE 5 covered. THANK YOU to all who donated! I was so grateful. You can still donate on the website.If you donate, I will put your name and your message on the bottom the website page. If you donate over $30 your name and message will be in the magazine as well as you will get the issue.

I do offer space on BLINK for ads for a reasonable price. The most I would include is 10 pages advertisement for BLINK and I will be very discriminating about what advertising I accept.

Artists and galleries can advertise and show their own work. I do send BLINK to galleries, collectors and artists of all over the world. I just gather what I love and show it to this world while kicking the boring daily routine out with great artists whom I love, support and take care of. I do this for one simple reason, the photographs make my eyes happy. BLINK is myself and I am BLINK.

What is the best way to submit work to you?
Simple. It’s a two step process: First, see ‘Take a look inside of BLINK‘ videos and sample spreads of images on the website. (I make a video which shows the  issue.) Second, ask yourself: “Is my work really harmonious with work of featured artists on those previous issues?” Not all work is right for BLINK. but that doesn’t mean that your work is not good or not perfect, it just not for BLINK. I can’t answer all the submissions, I don’t mean to be rude but it’s fairly impossible. Please contact me via email as well: editor.aram@gmail.com



텀블벅 크리에이터 인터뷰 : BLINK, 김아람

혼자서 작가들의 라이센스를 가져오고 인터뷰하고 편집하고 인쇄하고 배급하고 홍보하는 BLINK의 김아람을 만났다. 단 한 줄로 아무렇지 않게 써버릴 수는 있지만 과연 저 일들을 혼자 다 하는 게 말이 되나? 타임라인의 김아람은 주로 돈이 없고 배고프고 그리워하고 깔깔댄다. 그래서 나는 김아람에게 밥을 사주고 싶었고, 맥주를 사주고 싶었다. 잘 모르는 사람이지만 뭐든 먹여주고 싶은 사람이다. 김아람을 만나고 나서는, 사주고도 싶지만 뭐든 만들어 먹여주고 싶어졌다. 근래 만난 사람 중 그녀는 가장 용감하고 가장 따뜻하고 가장 솔직하고 가장 성실한 사람이니까.


못 참겠다! 라고 생각해서 만들어버렸다.


BLINK Magazine ISSUE3 cover, totem #9 by Alain Delorme


이건 사진인가?

사진 촬영 후에 부수적으로 어떤 후반작업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작가가 공개하기를 원치 않는다.

이 아저씨가 이 거리에 있었던 건가?

사실은 작가만이 알겠다. 요즘 사진작가들이 쓰는 방법 중에 하나인데, 한 공간에서 사진을 여러장 찍어서 레이어를 쌓았을 수도 있다. 이건 내 추측이다.

저렴한 말로 합성?

(웃음) 요즘은 후반작업을 무시할 수 없다. 필름 작업만 고수하는 작가들도 있지만. 근데 솔직히 모른다. 그게 디지털인지 필름인지도. 사진에서 심도나 그런 차이로 필름의 맛이 다르다고  할 수는 있겠지만 웬만한 사진들, 색깔이 많이 올라온 것들은 구분하기 힘들다. 아 이런 얘기하는것도 고리타분하다. 흑백사진이라거나 필름작업만이 대단한거라면서 억측부리는 시대착오의 가치관을 일삼는 사진작가들 생각이 나서 갑자기 갑갑해진다.

친구와 이걸 보면서 ‘이게 사진이야? 합성 아니야?’ ‘에이 설마~ 이렇게 하고 찍었겠지~’라고 얘기한 적이 있다. 우린 좀 촌스러워서.

이 미 우리가 보고 있는 세상은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후반 작업으로 우리가 보지 못했던 다른 세상을 만드는 것이다.  뭐 디지털 아티스트라고 하며 아예 그렇게 하는 작가들도 있고. 사진이라는 분야의 경계가 모호해졌다. 이런 판국에 파인아트와 다큐멘터리, 상업사진 이런거 나누는 것도 후진 짓이다.

당신은 원래 사진을 찍어왔던 사람인가, 봐 왔던 사람인가.

어렸을 때 꿈이 예술가였다. 화가도 하고 싶었고 발레리나도 하고 싶었고 생물학자도 되고 싶었고 천문학자도 되고 싶었다. 나는 예술가가 될 거라 생각했다. 그중에서도 특히 사진작가가 되고 싶었다. 그래서 어렸을 때부터 사진을 엄청나게 많이 찍었다. 그런데 예술을 하려니 돈이 많아야 되겠더라고. 우리집은 가난해서 흔히 예술한다는 사람들의 수순을 밟을 수가 없어서 나중에는 생산적인 부분보다 감흥의 부분에 치중하게 되었다. 어렸을 때는 밖으로 내뿜는 소통을 했었다면 나중엔 받아들이는 소통을 한 것 같다.

어렸을 때는 언제쯤을 얘기하는 건가.

정말 어렸을 때. 유치원때부터 카메라로 사진을 찍었다. 동생들 모델로 세워서 찍고. 강아지랑 고양이 찍고. 코스모스 찍고 연탄찍고. 사람들이 사진을 찍는다고 하면 장비에 미치고 그러는데 그런 것보다 나는 좋은 사진이란 것은 찍는 사람의 마음과 정신이 판가름한다 생각한다.

돈이 없으면 예술을 하기 어려운가?

주변에 예술하는 친구들 대부분 보면 나랑 같이 누가 가난하나 대결이라도 한답시고 덤벼드는데 진짜 한대 쥐어박고 싶다. 살만한 애들 그래도 부모님이 경제적으로 지원해줄만한 그런 가정은 되야 예술할 수 있다. 단편적으로 입시학원이며 예술대학등록금을 봐라. 겁나 비싸서 다리가 후들거린다. 그림을 잘 그리는 사람들은 정말 복을 타고 태어난거지. 그게 콩테가 됬든 먹으로 그리든 어찌됬든 드로잉같은 걸 하면 펜 하나, 종이하나면 일단은 그림이란 걸 그릴 수 있잖아? 사진은 필름 사고 현상도 해야 되고 프린팅하고 액자에도 끼워야 하고. 장비 유지나 보관에도 또 돈이 들어요. 우리나라에서는 사진을 한다하는 사람들은 사진학과를 또 나와야 되요. 아씨. 남들이 그렇게 산다고 나도 그렇게 살아야 싶었고 다른 길로 파고들어보자 라고 생각했다. 다행히도 하고 싶은것도 많고 꿈도 많았다. 그 많은 꿈들중에서 제일 돈이 안드는, 가난한 나에게 가장 최적의 선택은 글을 쓰는 사람이 되자였다. 그렇게 하다보니 사진잡지사에 기자가 되어 있었다. 내가 왜 이 생각을 못했지? 라는 생각이 들더라. 사진을 좋아하고 글쓰는 것도 좋아한다면 사진잡지사 기자가 되면 된다는 생각. 사실 못해보진 않았다. 영화랑 음악을 좋아해서 영화잡지사나, 음악잡지사에 들어가고 싶다는 생각은 했는데 사진잡지사는 생각자체를 하고 싶지 않았던 거다. 왜냐면 우리나라 사진잡지들은 너무 구리거든.

하하하 맞다 좀 구리다.

그런 구린 사진잡지사에는 들어가고 싶지 않았는데 운이 좋게도 새로 생길 사진잡지사에 창간멤버로 들어갈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그렇게 해서 내가 원하는 잡지를 만들 수도 있지 않을까 싶었는데 정말 그렇게 됬다. 앞 부분은 작품을 보여주고 뒷 부분은 하드웨어나 내가 관심없어 하는 걸로 채워졌는데 그건 광고주 입맛 맞춰주기용으로 그 잡지 발행인의 확고한 신념을 바탕으로는 했는데 개인적으로 내게는 쓰레기같은 부분이었다. 한번도 읽어본적 없다. 거기서부터 자질구레하게 마찰이 있었는데 그 사람은 어차피 사업가니까. 그런 사람에게서 예술이나 예술가들에 대해 존중을 기대했던 내가 미련했던걸까. 이를테면 작가분들에게 라이센스에 해당하는 대우를 적절히 못해준 부분에 대해 나는 계속해서 설득을 하는거다. ‘우리가 이렇게 이렇게 해서 당신의 좋은 작품을 가능한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주고 싶다. 함께 하자’라고. 그렇게 나는 힘들게 작품을 가져오는데 이 발행인은 내가 하는 일들이 쉽게 보였던거고 이어서는 피쳐아티스트들마저 대접받지 못하는 상황을 보니 화가 났다.

그런데 어떻게 그런 사람이 사진 잡지를 발행하나?

돈이 되거든. 예술은 몰라도 촉은 있는 것 같다. 사진분야는 광고를 따낼게 많다는거다. 장비도 그렇고 전시도 그렇고. 그런 촉은 있었던 거다. 사업가로써는 인정한다.

촉만 있네.

완전히 사업가다. 어쨌든 잘했지. 그래서 창간된 지 두 달만에 정기구독자가 확 늘어났다. 그 안에 작품들 때문에. 거기서도 작품을 크게 실었거든. 그렇게 6개월인가를 일했는데 작가들에게 책을 안 보내 주겠다는 거다. 진짜 이건 예의다 예의. 어차피 작가들은 나랑 작업을 한거다. 중간에 낀 나는 굉장히 곤란한 상황에 처하게 된거다. 그래서 내가 사비로 몰래 보내주기도 했었다.

돈을 안 주는 것에 대해 작가들에게 어떻게 설명을 했나.

책을 보내주면서 우리와 계속 하면 나중에 우리가 당신을 서포트하겠다...그런 식이었는데 솔직히 그 작가들 덕에 해외에서 해당잡지의 인지도가 올라갔었다.그 잡지라 해봐야 대한민국이라는 어느나라의 어느 잡지사일 뿐인데. 하지만 그 발행인은 국내에서의 인지도에 자뻑해 ‘그 사람들이 영광인 줄 알아야 된다’라는 망언을 일삼기 시작했다. 처음부터 돈만 밝히는 건 알았지만 어느 정도는 예술을 존중해줄 줄 알았다.

결국 뛰쳐나온 건가.

내가 좀 워커홀릭이다. 항상 야근을 했다. 나중엔 그걸 당연하게 여겼고 작가들한테 책을 안 보내주겠다고 해서 그래서  더이상 못 해먹겠다 라고 마음먹고 짐싸서 나왔다. 나는 정말 내 잡지라고 생각하며 만들었는데 결국 그 발행인이 그랬다. "김기자. 이건 자기 잡지가 아니야. 내꺼야." 라고. 아! 깨달았다. 나는 그 사람 ‘밑에서’ 그 사람을 위해서 일하는 로봇이었구나. 내가 좋은 작품 가져오는 게 저 사람의 배를 불리는 일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뛰쳐 나왔다. 그렇게 나와서 예술이고 나발이고 다 그만두고 인도 가서 1년 정도 살다 오면 뭔가 대한민국도 나도 달라져 있겠지 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여행준비를 하고 있는데 사람들에게서 연락이 오는 거다. 포트폴리오 CD같은 게 날라오고. 갤러리스트들이 전시 준비하면서 어떤 작가들이 괜찮을까? 라는 식으로 의견을 구해 오기도 하고.

또 하다보니 이걸 그만 둘 수가 없겠는거다. 너무 재밌는 거다. 못 빠져나가겠어. 해외에서는 인정받는 작가들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알려지지 않아서 나는 내가 작가를 선정하는 작업이 어느정도는 ‘발굴’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작가중에는 1호 커버작업을 한 AlexandFelix 가 있었다. 

13 Queens, Queen Rocket by Alexandfelix

13 Queens, Queen Mini mouse by Alexandfelix


전에 일했던 잡지사를 퇴사하고나니 AlexandFelix에게서 연락이 왔다. 나는 너와 우리의 기사를 써줬으면 좋겠는데 어떻게 해야하냐고. 원래 작가 선정한 리스트를 공개하지 않는데 이런저런 이유로 부득이하게 공개를 해야했던 작가였다. 그걸 놓치지 않고 그 발행인은 다른 기자를 시켜 바로 연락하게 한거지. 나 퇴사하고 회사메일도 몇시간안에 암호를 바꾸더라. 내게서 가져갈꺼 다 가져가려고 용쓰는 모습이 참 처절했었다. 퇴사해도 기사라도 써달라던가 작품이라도 연결해달라던가. 작가에게 얘기했다. 나는 이제 잡지사를 관뒀으니 너네가 하고 싶은대로 해라. 그쪽이랑 같이 해서 잡지에 나오면 너희 작품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을꺼다. 얘기하고 밤에 잠을 자려고 누웠는데 ‘못 참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작업했던 게 아까운거다. 어차피 내가 가진 리스트도 많이 있었으니까, ‘책을 한 권이라도 내버리자!’라고 불현듯 내뱉어버렸다. 저런 인간도 내는데 왜 나는 못 낼까 하고. 그리고 그게 저 사람 아이디어가 아니었다는 것도 보여주고 싶었다.

그렇게 1호가 나온 거라고?

그렇다. 작업은 3일 밤새 디자인해서 만든 거다. 그런데 열은 받았고 책은 나와야겠으니 만들어지더라. 구상은 계속하고 있었는데 실제적인 디자인 작업과 인쇄까지 해서는 일주일도 안 걸린것 같다.

사실 친구들과 블링크를 보면서 혼자 다 했다는데 정말일까? 라고 누가 물어서 내가 음...대부분 혼자 했지만 디자인은 도와주는 친구가 있지 않을까? 라고 얘기했었다.(웃음) 근데 정말 혼자 다 했다니...한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다.

1호부터 4호까지 보면 조금씩 발전하고 있는 게 보일꺼다. 독자분들도 얘기해주시지. 원래 1호도 이렇게 단순하게 나가는 건 아니었고 다양한 레이아웃으로 이뤄졌었다. 그런데 내가 또 어설픈 걸 못 견뎌해서 계속 바꾸는 성격이다. 그러니까 시간도 너무 많이 걸리고, 사진을 크게 보여주자는 애초 목표를 지키기로 하고 모두 뒤엎어 단순하게 사진만을 보여주는 형태로 발행하게 됐다.

나는 사진잡지...아...이걸 잡지라고 불러야 하나. 뭐지?(웃음) 하여간 사진잡지라고 하고. 나는 사진잡지를 보면서도 텍스트를 더 주의깊게 보는 그런 인간이다. 그래서 에디터스 노트를 재밌게 봤고 인상적이었다. 아...난 어째서 사진잡지를 보면서 에디터스 노트를 얘기하고 있는 걸까.(웃음)

보면 두서 없고 단어도 틀린 게 있을거다. 왜냐면 나는 퇴고를 정말 싫어하거든. 글을 일단 싸질러놓고 다시 보지 않는 편이다. 다른 잡지사에서 마감 때면 교정을 보는데 엄청 혼났지. 보면 내 것만 지뢰밭이었다. 근데 그런 것까지는 괜찮았다. 막걸리 한잔 하면 아무렇지 않았거든. 근데 나는 단어 하나 혹은 어미만 바뀌어도 글쓴이가 의도하고자 하는 바가 180도로 변해버릴 수고 있다고 믿는 사람이다. 전 발행인과 나는 스타일이 너무 안 맞았다. 그 사람의 단어선택들이 내게는 너무나 저급한 표현들로 인식됬었는데 자꾸 내 단어들을 자신의 저급한 단어들로 바꾸는 거다. 하나하나 심사숙고해서 선택한 단어들이었다. 글 쓰는 사람들은 이해하려나. 단어를 골라내는 것은 마치 산고의 고통과도 같다는.


사람들은 기자가 무슨 글을 쓰려고 하냐라고 했는데 나는 심혈을 기울였는데 이것들은 말이 안 된다면서 자꾸 바꾸는데 나는 엄청 싸워서 내 것들을 지켰다. 하지만 이미 그 사람들이 정해놓은 룰이 따로 있었다. ‘그’라는 말을 쓰면 안 된다랄지. ‘그’라는 말을 쓰면 글을 못 쓰는 사람이라는 둥. 그런 규율들이 나랑 너무 안 맞았다. 어딜 가든 그렇겠지만 내가 사회에 어울릴 수 없는 사람이구나 라고 생각했었다. 나는 일은 정말 잘 했는데 제도권안에서 ‘성실하다’라고 정해놓은 것들과 맞지 않는 거다. 나는 내 나름의 효율을 추구했다. 출근은 9시 30분까지지만 내가 10시에 다른 곳에서 미팅이 있다면 굳이 사무실에 들렀다 거길 갈 필요 없이 미팅장소에 바로 가는 게 맞다고 생각했고 그렇게 했다.

나도 그렇다. 내가 효율적인 시간이 있는데...그렇다고 내가 회의시간을 내 컨디션에 맞춰야 한다거나 그런 건 아니고 다 할 수 있는데 나머지 시간을 쓰는 것에 있어서는 내가 가장 효율적인 시간에 하는 게 뭐가 그리 문제인지. 하지만 이러니저러니 해도 정해진 시간을 지킨다는 것 그 자체가 의미를 가지는 것이라고들 생각하니까. 그걸 부정하는 건 아니지만 그것만 맞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나는 그런 것에 더 많이 반항했다. 점심도 12시나 1시에 챙겨먹는 게 싫다. 내가 배고플 때 먹는 게 맞지 않나? 정작 내가 배고프지가 않는데 밥시간 됬으니 밥먹고 오라고? 일이라는 것도 그렇다. 난 내가 원할 때 하고 싶다. 그때가 가장 고도의 집중력이 발휘된다. 며칠을 붙들고 앉아 있지만 정신이 산에 가있으면 능률은 현저히 낮을수밖에 없다. 열심히 놀다보면 일하고 싶을때, 즉 일을 해서 가장 능률이 높을때가 찾아오기 마련이다. 하지만 학교나, 사회나, 직장 뭐 그런 것들은 내가 배가 고프든 말든 시간 되면 밥을 먹으라고 한다. 체할 것 같다. 적어도 나를 위한 것들, 먹는다거나, 자는 것이나 그런 건 내가 하고 싶을 때 하는게 당연하지 않나.

심지어 나는 잠도 내가 원하지 않는데 자야 되면 여지없이 가위에 눌린다. 되게 심한 인간이다. 근데 당신은 초중고는 다 무사히 다녔는지?(웃음)

다 다녔다.(웃음) 초등학교때는 사람들이 말하는 성실함의 기준으로 본다면 내 인생에서 가장 성실했던 시절이었다. 근데 중고등학교때는 11시 넘어서 학교를 갔다. 학교를 다닐 때도 과목을 내가 선택하지 못한다는 게 안타까웠다. 아까 말했던 것과 일맥상통하는데 여러개 수업 중에 내가 좋아하는 과목은 정말 잘할 수 있고 몇 시간이고 집중하면서 더 배우고 싶었는데 내가 좋아하지 않는 수학같은 과목 시간에 책상에 앉아있어야 한다는 것. 그럴때 딴짓하면 혼난다는 것. 이해가 안갔다. 솔직히 사는데 맥반석계란 세개사면 천원인데 내가 오천원을 줬으니 사천원 거스름돈 받자 이런 계산만 할 줄 알면 되지, 내가 미분 적분을 알아야 할 이유가 뭐가 있나. 그런 것도 불만이 많아서 어릴때는 왜 영웅심리같은 거 있잖아. 그래서 일부러 8점맞고 그랬었다. 아 일부러는 아니고 원래 못해서. 근데 그게 내 자랑거리중 하나였다. 그래도 대학은 가야겠으니 공부좀 했는데 수학을 반타작 한 거다. 그래서 다행히 대학에 들어갔다. 선생님들이 너 절대로 대학에 못 갈 거라고 악담을 했었는데. (웃음)

중고등학교는 11시에 등교하고 그런 걸 봐주는 학교였나?

교무실에서 벌서느라 오전수업은 거의 못들었다.

(한숨) 그랬구나. 난 중고등학교 때 너무너무 쳐맞았다. 잠 때문에. 고등학교는 기숙사학교로 갔는데, 그거야 내 선택이긴 했지만. 그런 기숙사학교인 줄 알고 간 게 아니었다. 중학교때 로맨스소설 잘못 읽고 간 거다. 잠을 안 재우는 건 몰랐다. 근데 당신은 나이가 어떻게 되나?

스물 여덟살.

나랑 별로 차이도 안 나는데 왜 나는 맞고 다니고 당신은 그렇게 (순조롭게) 다녔지?

하하하하하하하하

학교, 어떻게 잘도 다녔네.




Art doesn't need critic but buyer





어쩐지 외국에서 오래 살다온 사람같았다. 유학생풍? 그런 말 많이 듣지 않나.

선탠하는 걸 좋아한다. 호주에서 1년 지내고 한국에 돌아와서 벤치에 누워서 샌드위치를 먹고 있는데 친구들이 ‘저 외국인 김아람 닮지 않았냐?’ 하면서 지나갔다고 한다.

으하하하하하하. 나도 호주에서 돌아왔을 때 따로 선탠한 것도 아닌데 까맣기도 했고, 살이 7키로가 쪄서 언니가 걱정했다. 니가 외국에서 살 것도 아니고 한국사회에서 살려면 살 빼야 한다고. 다행히 하느님이 보우하사 장염을 내려 정확히 7키로가 빠지고 한국사회에 컴백했다.(웃음)

나도 살 되게 많이 쪘었다. 살이 검으니까 살찐 게 별로 티나지 않았었는데 (한국에 돌아오고) 점점 하얘지니까 그건 정말 어우...

거기서는 식습관도 기름졌으니까. 그래도 살이 찌나 빠지나 속옷도 안입고 몸에 편하게 옷을 입으니 뭘 걸친 느낌은 거의 없었다. 한국에서는 갑갑하게 뭔가 스트레스를 받는 느낌이다.

그때 호주 1년 다녀온 거 말고는 외국에 나간 경험은 없었나.

그게 첫 여행이자 아직까지는 마지막이다.

외국 작가 작품들 라이센스를 어떻게 가져오는 건가?

아까 처음엔 사진을 찍다가 나중엔 보는 걸로 돌렸다고 하지 않았나. 자주 많이 보다보니 궁금한 게 생기는 거다. 이 작가는 어떤 사람인가...그 일을 하기 전에도 그 사람들과 연락하면서 어떻게 작업하는지 이야기를 주고 받았었다. 근데 기자로 들어갔는데 인터뷰한 걸 보고 싶다는 거다. 습작이라도. 그래서 그 사람들에게 인터뷰를 해보자고 해서 진행하게 됐고 그 작가분의 작품이 창간호의 커버가 되고 그런 식이었다. 그러니까 뭔가 잘 들어맞았다. 사진 작품집같은 걸 사고 싶고 직접 보고 싶지만 한국에는 없고, 작품집이 있어도 너무 비싸고. 근데 생각해보니 이분들한테 데이터를 받아서 출판을 할 수 있겠더라고.


그렇게 해서 잡지가 나왔는데 내가 생각했던 최상의 일인 거다. 기자로 처음 일을 시작할때는 책임감보다는 나의 궁금함, 호기만 채우면 되는 질문을 하는 수준이었는데 나중에는 좀 더 깊이 있는 질문을 하게 됐다. 기자로서도 장족의 발전이 있었다. 그러면서 큰 아트페어에서 작가들과 갤러리스트들을 만나고 네트워크를 확장시켜 나갔다. 이미 세계적으로 잘 나가는 사람들은 잘 안 오지만 간혹 내 스타일에 맞는 분들이 오셨는데 난 그분들과 얘기하는 것에 모든 시간을 보냈다. 어윈 올라프라고 내가 개인적으로 되게 좋아하는 사진작가분이 있는데 작년에 그분과 인터뷰를 한 적이 있었다. 그리고 그분의 어시스턴트가 독립하면서 어윈 올라프의 소개로 내게 포트폴리오를 보내온 거다. 그렇게 해서 2호 피쳐아티스트로 함께 작업했다. 그렇게 네트워크가 확장되는 거다. 그것도 내 취향의 사람들. 그런 사람들은 또 ‘나랑 같은 취향을 가진 사람을 찾기 힘드니까 블링크라는 잡지를 한번 더 보게 되고 신뢰해 주고.


블링크는 호불호가 갈리는 잡지다. 모든 이에게 사랑받는 것은 대부분 깊숙히 사랑받기는 어려운 것 같다. 하지만 호불호가 갈리는 경우에는 좋아하는 사람들은 정말 좋아해주지. 아무래도 내 취향의 것들을 모아서 하다보니 작가분들이 그에 맞는 분들을 소개시켜 주기도 하고. 창간호에서는 좀 중구난방으로 포트폴리오들이 들어왔는데 지금은 좀 블링크와 어울리는 작품들이 온다. 그렇다고 이 작가들의 작품을 다 싣지는 않는다. 30개 오면 1개정도로. 내 스스로 다짐한게 있다. 그냥 앉아 포트폴리오 받을꺼라면 내가 왜 블링크를 만들었는데. 나는 노력할꺼다. 내가 좋아할만한 작품, 나를 감동시킬만한 작품을 내가 스스로 찾을꺼다. 이 모험이 내 인생 최대의 즐거움이다.

실어줘야 하는 경우라는 게 있지 않나.

국내 유명한 사진작가라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 사람들이 개인전을 하면 커버로 실어줘야 하는 그런 게 있다. 그건 미디어의 공신력을 작가들의 네임 벨류에 묻어가며 보여주려는 것이다. 난 미디어의 역할이 사람들의 생각을 좌지우지하는 게 아니라 더 많은 걸 보여주고 소통해야 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 미디어에 휩쓸려 가는 사람들, 문제가 아닌가 고민이 많았다. 블링크로 대중들을 이것만 바라보게 하는 게 아니라 다양한 지점들을 볼 수 있게 하고 싶다. 더 많은 생각을 하게 해 주고. 그런데 대개의 사진잡지들은 평론가나 기자의 말을 사람들에게 주입하려 하니까 그건 아니지 않나.


그래서 나는 인터뷰를 할때면 캐주얼 한 것, 이 작가는 어떻게 살아가고 있나, 이 작가에게 신기한 호기거리같은 게 있으면, 이를테면 ‘이 사진은 어떻게 찍은 거야? 이 사람들은 어떻게 발견한 거야? 너는 사진 안 찍을 땐 뭐해? 카메라는 뭐 써?’ 그런 걸 위주로 한다. 그런 식으로 친구와 시시콜콜한 대화나누기 식의 형태를 취하려 한다. 작가의 말이 사람들의 감상에 영향을 주는 것은 가급적 싣고 싶지 않다. 그런 걸 싣는 순간 아주 가볍더라도 보는 사람에게는 스테레오 타입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잡지에 사진만 싣자 라고 했지만 인터뷰도 올리는데 가급적 ‘그 외의 것들’ 작가의 이야기, 그러니까 두 가지의 다른 볼거리나 이야기거리를 제공하자는 입장이다.

동의한다. 내 성향이 가벼워서 그럴 수 있는데 이른바 예술이라는 것들 중에 설명이 너무 많이 필요한 것들에 대해 피로를 느낀다. 왜 내가 느끼지 못하는 것, 모르는 것에 대해 강박을 느껴야 해? 하는 거다.

나 도 당신과 똑같다. 글을 쓰는 사람이나 말을 하는 사람들은 그것으로 표현하는 게 맞지만 사진이나 음악을 하는 사람들은 결과물로 얘기를 하는 건데 왜 말이나 글로 애써 표현하지 못해 안달이 난걸까. 차라리 그럴꺼면 사진작가 때려치고 글쓰는 작가했으면 좋겠다.

근데 그런 게 많지 않나. 설명이 붙지 않으면 성립이 안 되는 것들.

그런 아티스트들이 있는 게 이미 굳어질대로 굳어진 사회제도권과 미디어의 문제다. 나는 평론가들도 별로 신뢰하지 않는다. 아니 솔직히 제일 혐오하는 직업이다.

난 일단 뭔 소리인지 잘 모르겠다.

으하하하하

이를테면 문학평론은 한 장을 넘기기가 힘들다. 다른 이유가 아니다. 너무 재미 없어서 끈기 없는 나로서는 도저히 읽어낼 수가 없다. 그 사람들도 텍스트로 승부를 해야 할 사람들인데 그 글 안에서 독자로 하여금 끝까지 읽게 만드는 힘을 가져야 하는데 대부분 그런 게 없다. 그 개념이 어려운 것이든 뭐든 상관없다. 글이 재밌다면 읽는 거고 없으면 못 읽는 거다. 불행하게도 평론이란 것들은 대부분 믿을 수 없이 재미없다. 그런데 그런 뭔 소린지 알 수 없는 어려운 말들에서, 남을 깎아내리면서 권위를 확인하는 것만큼 촌스러운 게 없다고 생각한다. 그건 가장 쉽고도 비열한 방법이다.

‘어떻게 하면 글을 어렵게 쓸 수 있나’가 그들이 가진 능력인 것 같다. 그리고 말이라는 건 어려운 단어를 사용한다거나 그런 게 나쁘다는 게 아니다. 어쨌든 보는 사람이 편하고 즐기면서 읽어내려 갈 수 있어야지. 읽는 순간, 아니 읽기도 전에 불편하다. 왜 비평이라는 권한이 특정인들에게만 주어지는거냐고. 내가 블링크 3호 책등에 쓴 문구가 있다. 데미안 허스트가 한 말이다. ‘Art doesn’t need critics but buyer'. 모든 사람이 평론가가 되어야 한다. 언제까지 평론가라고 몇몇 사람들이 나대는 우스운꼴을 계속해서 지켜봐야해!


해석이나 감상법에 대해서는 천차만별인 게 당연한데 평론가나 갤러리 쪽에서는 하나로만 몰고 가니까. 이게 맞다고. 하지만 난 예술은 그런 게 아니라고 생각한다. 우리의 최고의 유희거리 중 하나인 섹스가 있다. 다양한 자세, 다양한 느낌과 다양한 사람, 다양한 마음가짐으로 하면 이 재미를 극대화할 수 있다. 예술 또한 그래야 한다고 생각한다. 소꿉놀이를 한 가지로만 즐길 이유가 있나? 많은 방법들이 있는 거다. 이건 궁금할 수 있겠지, 작가가 무엇을 의도한건지. 하지만 그것도 2차적인 문제라 이거다. 작품해석은 보는 사람에게 달렸다. 


애기 에디터 시절 멍청하게도 작가와 인터뷰를 할때 의도치 않게 당신의 작업을 보고 다른사람들이 뭘 느꼈으면 좋겠냐 라는 질문을 했고 정말 짠듯이 대부분의 작가들이 그건 보는 이의 몫이라고 답했다. 그럴때 침을 튀기켜 일장연설하는 작가들은 대부분 내가 인터뷰하고 싶던 작가들이 아니라 발행인이 돈된다고 시켜서 억지로 해야했던 작가와의 인터뷰였었다. 작업의 완성도나 성공률과 작가스스로가 작품에 대해 하는 말의 양은 서로 반비례하더라.

사람들을 만나면 ‘제가 사진은 잘 몰라서 그러는데요, 이 작품 어떻게 봐야돼요?’라고 묻곤 한다. 예술은 알고 모르고의 문제가 아니다. 이론적으로 공부를 많이 한다고 감상을 더 잘하는 건 아니다. 그 사람들은 자기 밥그릇이나 자기가 더 고결한 척 하고 싶어서 다른 사람들보다 감상할 줄 아는 능력이 된다고 다른 사람들을 폄하하는 거다. 당연히 모든 사람들의 감상법은 다르다. 이 사실을 왜 간과하지?


이런 당연한 얘기를 들려줬을 뿐인데도 사람들은 띵! 하고 반응한다. 문제는 이런 걸 말해주는 사람들이 별로 없다는거다. 고리타분한 정신상태로 무장한 작가들은 반기를 들고 나오겠지. 내게 이렇게 말할 수도 있다. ‘너는 사진전공자도 아니고 미술에 대해서도 아무 것도 모르니까 그렇게 단순하게 볼 수 있겠지.’라고. 그러면 나는 반문할 수 있다. ‘당신들은 얼마나 좋은 작품들을 생산해내길래 국내에서만 머무는가’ 라고. 물론 국내 사진잡지에 계속 실리면서 자기 돈 주고 대관해서 전시하고 교수가 자기 첫 전시라고 부끄러운줄도 모르고 전시해대고. 해외에 나가 작품으로만 승부해보라고. 그러고 나서 나랑 다시 얘기하자. 해외 나가서도 그렇게 말로만 주절거릴래. 작품으로만 얘기해봐. 한국에서만 깝치지 말고.


사람들을 왜 우물 안 개구리로 만드는 걸까. 안타깝다. 세상에는 정말 많은 좋은 작품들이 있다. 그런데 지나가던 사람을 붙잡고 좋아하는 사진작가가 누구냐고 물어보면 매그넘의 작가들이나 브레송, 거기에 김중만 얘기가 나온다. 오마갓. 앞서 말한 외국의 작가들은 실제로 국내에서 인식하고 있을만큼 그렇게까지 극한의 존경을 받고 있지 않다. 하지만 이게 다 망할 편협한 미디어와 전시 환경때문이다. 그들을 신으로 만들어 놓았다. 미디어의 힘이 이렇게나 크다. 그런데 그 큰 힘을 가진 사람들이 왜 좀 더 많은 걸 보여주지 못 하는지 개탄스럽다.




사진의 시작은 '보는 것'이다. 그러니까 정말 솔직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예술을 하는 사람들과 예술을 하지 않는 사람들의 갭이 너무 크다.

응?

그러니까 내 말은 전 국민이 예술을 즐길 수 있으면 좋겠는데. 이를테면 프랑스에 있는 친구는 매일같이 자신이 보았던 전시들에 대한 사진과 메일을 보내온다. 이걸 볼때면 스스로가 직접적인 생산을 하든 소비를 하든 모두가 예술의 울터리안에 자연스럽게 녹아있는거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문화적으로 영화나 음악공연을 보러 가거나 하는 사람들은 늘어났지만 이외의 작품관람에 대한 벽은 아직도 높다. 뭐 사실 제대로 된 전시도 얼마없다.

아까 우리는 바깥에서 잠시 바다에 대해서 얘기한 적이 있다. 어떤 사람이 바다가 있는 곳에서 성장기를 보내는 것과 바다가 없는 곳에서 성장기를 보내는 것은 보통 자기의 의지와 상관이 없는데 정서가 다르게 형성될 수 밖에 없는 거다. 마치 그런 것처럼 문화란 것은 일상에서 공기처럼 흡수되는 게 아닌가.

맞다.

무인양품을 보면 정말로 단순해서 저런 걸 만드는 데 무슨 대단한 기술력이 필요한 것도 아닌데 우리는 왜 만들지 못하는가를 생각해보면 시간을 들여 쌓아온 미의식이 부재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건 우리나라를 비하하고 그런 게 아니다. 그냥 우리의 현주소다. 그건 예술을 향유하는 것에서도 같은 문제다. 우리는 따로 찾지 않아도 생활에서 예술을 공기처럼 흡수할 환경이 아니다. 찾아나설 수 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런 의식없이 이 혼돈의 공기를 마시며 살아가는 사람들과 ‘꼭 이게 아닐 수도 있잖아.’라고 생각해서 부러 찾아다니는 사람들 사이에서 갭이 생길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모든 사람들이 식욕, 수면욕, 성욕 등을 당연히 갖고 있는데 나는 여기에 한가지 더 영감을 받고자 하는 욕구도 잠재적으로 누구나 다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걸 당당히 꺼내보일 수 없는 것이 ‘예술은 교육을 받은 사람들 것이다.’ 라는 의식이 팽배해 있고 이것이 사람들을 기죽게 한다. 블링크를 내고 나서 독자들의 모습을 보는 것만 해도 좋긴 하지만 그보다 더 기쁜 건 이걸 보면서 스스로가 소통을 하려고 한다는 것이었다. 예상외로 많다. 어렸을 때부터 막연하게 사람에겐 영감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지만 그걸 눈으로 직접 사람들을 통해 보게 되니 너무 행복하다. 내가 사는 동안에 영감에 목마른 사람들과 계속해서 소통해나가고 싶다. 대화를 하는 것이랄지 작품을 보여드리는 것이랄지 어떤 식으로든.


나는 그 사람들에게 ‘예술을 향유하세요’ 하면서 국내 갤러리 같은 곳에 데려가고 싶지 않다. 분명히 지루할 거다. 나만 해도 아트 에디터로 일할 때 수백개의 전시에 가보면 여지없이 시간낭비 같았다. 도대체 이런 것들을 보면서 무슨 생각을 하라는 건지. 뭐 분명 이건 취향의 문제일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런 걸 취향의 문제로 취급하지 않고 ‘이해하지 못하는 네가 무식한 거다.’라는 식으로 몰고 가면 여기서 나는 또 열이 받는다. 갤러리나 미디어가 이끄는대로 움직이고 있다. 이것은 정말 엄연한 폭력이다. 강요로부터 비롯되었으니 진실된 감상에 다다를 수 없다. 그러니까 예술이 재미가 없는 거다. 딱딱하게 말을 해야 예술이라고 생각되는 거. 사진의 시작은 ‘보는 것’이다. 그러니까 정말 솔직한 것이다. 난 여기에 대고 굳이 어떤 말을 붙여야 하는 지 모르겠다. 내가 쉽게 받아들이고 있는데도 딱딱한 말들로 인해 나의 순수한 감정들이 왜 오염이 되야 하는거지?




왜 너의 삶을 예술로 만들지 않는데?



에디터스 노트에 보면 환경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는 것 같다.

나는 환경에 민감한 사람이다. 나도 사람인지라 이기적일 수 밖에 없는 부분이 있지만 며칠밤 아니 지금까지도 고민을 한다. 배송을 할 때 비닐봉투를 어떻게 할 것인가. 원래는 비닐을 쓰지 않았다. 그런데 블링크는 구겨지면 안 된다. 그래서 처음에는 친환경 안전봉투란 걸 사서 썼다. 하나에 500원이다. 폐신문을 에어캡대용으로 사용해 넣은거라 무게도 만만치 않다. 그랬더니 우편발송비가 너무 많이 드는 거다. 전 직장에서도 발행인과 그 문제로 싸웠었다. 비닐로 바꾼다고 해서. 그런데 발행인이 ‘김기자 지금 우리는 우리 배를 채워야 한다.’고 했다. 나는 거기서 완전히 정신이 나가버렸다. 견딜 수 없었다. 근데 지금 상상마당같은 경우에도 블링크를 비닐로 커버를 씌운다고 한다. 책이 상하면 판매가 안 되니까. 나 역시 환경을 그렇게나 생각한다면 이런 책도 내면 안돼- 라는 자조에 시달린다. 처음엔 재생지, 콩기름 인쇄를 하고 싶었는데 그게 색깔을 못 담아내는 거다. 그럼 나는 어떻게 해야 되나...

근데 그렇게까지 따지고 들어가면 일단 우리는 더이상 살아있으면 안 된다. 한시라도 빠르게 숨을 멈추는 게 환경에 이롭다.

하하하하하하

내 친구중에 재활용 패션업계에서 일했던 친구가 있는데 어느날 농담처럼 말하길 루이비통이나 샤넬 같은 브랜드야말로 친환경적인 거라고. 왜냐면 그 백은 한번 사면 웬만하면 대를 물려서까지 쓰고 또 쓰니까 그렇다는 거다. 이건 농담이었지만 이를테면 그런 거다. 블링크는 방법론적인 부분에서 어쩔 수 없는 것이 있지만 발행된 이후에 그 잡지가 대를 물려 볼 수 있는 가치를 가진 잡지일 수 있다면 그건 상쇄가 된다고 생각한다. 나도 이번에 이사올 때 영화잡지가 한가득이었는데 너무 고민이 됐었다. 이 잡지들이 대를 물릴만큼 가치있는 것일까. 모르겠네. 다음 대에서 보면 흥미로울지도. 하여튼 그런 고민들을 하다가 결국 버렸다.

하아-(한숨)

그런 고민들을 계속 가져가는 것은 좋다고 생각한다. 아무런 고민과 회의없이 되는대로 달리는 것보다.

되게 많이 생각하고 있는 부분이다. 책을 만들면서 어쩔 수 없는 부분 외에 부수적인 것들에서는 환경에 안 좋은 일들을 하고 싶지 않다. 하지만 하나하나 자꾸 어쩔 수 없이 하다보면 나도 똑같아 지는 거다. 그럴 때 괴리감을 느낀다.

나도 슈퍼갈 때 비닐봉투를 안 받아왔는데 어느날 비닐봉투가 너무 필요한데 하나도 없어서 난처해진 이후로 다시 받아왔다.(웃음) 간사하고 나약하다.

나 는 또 ‘많이 환경을 아꼈어.‘라면서 자아도취에 빠지는 부분도 있다. 근데 나는 그것도 안 하는 사람보다 낫지라고 생각하려고 한다. 그냥 그렇게 살아버리면 환경에 너무 미안하니까. 그냥 내딴에 생각하는 선 안에서 자위하며 사는 거다. 어차피 사는 것 자체가 고민의 연속이긴 하지만.

살면서 계속 고민하고 회의하고 자기를 바라보는 건 중요하지 않을까. 자기를 바라보지 않고 사는 사람들보다 낫다. 어릴땐 그나마 막 만들어진 물건처럼 기능이 좋아서 타고난 촉을 가지고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물건이 닳듯이 촉이 닳아가는 거다. 그냥 살아버리면 그렇게나 싫어하던 꼰대가 되버리는 거고. 그러고는 어느 날 소주잔을 기울이며 나도 원래 이런 사람이 아니었는데. 그런 지리멸렬한 소리나 늘어놓게 되는 게 아닐까.

그건 개인의 문제가 아닌 것 같다. 본성은 자유롭고 다양하게 타고 나는데. 내가 어떤 사람과 사랑에 빠졌을때 그 사람은 내게 이런 질문을 했었다. "너는 내가 왜 좋냐"고. 나는 답했었다. 너는 길거리의 많은 대량생산품이 아니라 가내수공품 같아서 좋다고. 일단 그 사람은 계속해서 가내수공품의 길을 걸으며 잘 살아가고 있는데 대부분의 사람은 그렇지 못하다는거다. 하지만 그 시작은, 그 탄생에는 모두가 제각기 다른 가내수공품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럼. 모두 엄마랑 아빠랑 집에서 애써서 만들었다.(웃음)

모두 제각각 타고났는데 교육이나 사회가 계속해서 똑같은 모습의 형틀에다가 넣고 주무르지. 난 그게 되게 안타깝다. 많은 사람들의 안에서는 가내수공품 꼬마 애들이 나 좀 꺼내달라고 울부짖는 거라고 생각한다. 또 안타까운 건 하고자 하는 것은 많은데 행동하지 않는 것. 행동말야. 안 할 수도 있어. 그런데 거기에 말만 많은 것. 난 그게 싫다. 인생 짧다. 내가 하고 싶은 것만 하기에도 모자른 인생이다. 또 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거 다 할 수도 없을만큼 짧은 인생인데 왜 하지 않을까. 왜 해보려고 하지 않을까. 내가 하고 싶은거 못하고 살면 나는 죽을때말야 눈감기전에 분해서 못 죽을 것 같아서. 하고 싶은건 다해보고 있다.


그럼 어떻게 해? 다음 생애에 다시 태어나나? 그건 이미 내가 아닌데? 지금의 자기자신의 삶을 최선으로 살았으면 좋겠다. 정성을 다했으면 한다. 지금 내가 당신과 얘기를 하는 것도 정성을 다해 하고 있다. 대충 할 거면 안 하느니 못 하다. 내가 진실된 나에 대해 얘기를 해야지 그걸 안 할거면 그냥 안 할래요. 라고 하는 게 낫다. 시간을 때우기 위해서? 돈 벌려고? 돈을 벌고 싶다면 정말로 열심히 해서 돈을 많이 벌든가. 그런데 대부분 자기 일에 대해서 해이하다. 난 다만 사람들이 정과 성을 다해서 임했으면 하는 거다.


나는 서로가 서로에게 영감을 받았으면 한다. 작가들을 만나고 사람들을 만나면 나는 작가들에게 작가들만 소개시켜 주는 게 아니라 다른 분야에 있는 사람들도 소개시켜 준다. 내가 제일 좋아하는 질문이 ‘당신은 뭘 보면서 영감을 얻어요?’ 다. 나의 경우에는 사람에게서 받는 영감이 정말 크다고 생각한다. 서로에게 영감을 주다 보면 이 사람은 저 사람을 보며 발전을 할 거고 저 사람은 자기를 보는 이 사람을 보며 더 발전하고 싶어할 거고. 그렇게 되면 타인의 인생에 책임감을 느끼고 자기의 인생이 더 윤택해 질 거다. 나는 그런 것들이 인간, 삶의 예술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나는 좀 더 서로 얘기를 많이 했으면 좋겠다. 누구에게나 입이 달려 있다. 가정사고 뭐고 모든 게 예술 작품인 거지. 그리고 요새는 누구라도 카메라를 가지고 있으니까 셀프-포트레이트 작업을 했으면 좋겠다. 스스로의 다양하고 새로운 모습을 찾는거지. 세상에서 자신이 제일 아름답다는 것을 왜 잊고 살까. 그래서 나는 셀프포트레이트작업하기를 항상 권하고 있다. 스스로 주체적인 생산자가 되어보라는 차원에서 이기도 하지.

지금 얘기하면서 새삼스레 느끼는 게 당신은 사람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많다. 사람에게 애정이 없으면 남의 인생에 대해서 ‘왜 너의 인생을 예술로 만들지 않는데?’라고 재촉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한다. 많은 사람들은 관심이 별로 없다. 남의 인생, 예술이 되든지 말든지.

나는 작품을 감상하는데도 천차만별의 방식이 있듯이 사람을 바라보는 시각도 천차만별이어야 하는데 다수가 바라보는 방향으로만 흘러가지 않았으면 한다. 당신이 여기 있는데, 당신을 이렇게 하나로만 바라보려 하는 것. 그렇게 되면 나머지의 당신을 놓치게 되는 것이다. 얼마나 안타까워! 여러 사람이 당신을 볼 때는 여러 생각이 있어야 되고 이 사실을 존중할 줄 알아야 한다.

재밌는 건 다수가 그런 사람인 것 같아. 라고 했을 때 웬만한 사람은 그런 사람이 되거나, 그런 사람이 되려고 노력한다.




사람이 재밌다, 사람이 제일 재밌다

나는 당신에게 호감을 느꼈던 게 소위 말하는 기가 세 보이지만, 아마도 기가 셀테지만 솔직하고 따뜻하다는 점이다. 주위에 작가라는 둥 작업을 한다는 둥 하는 사람들을 만나보면 의외로 솔직하지 못한 사람들이 많다. 스스로 다치고 싶지 않은 마음이 너무 커서 타인에게 함부로 하는 사람들, 혹은 그게 쿨하다고 생각하는 어리석은 사람들. 그 안에는 따뜻함이 있고 주고 싶은 마음이 있는데 그걸 드러내지 않으려는 것. 하지만 당신은 당연하게도 자기가 서 있는 사람이면서도 따뜻하고 사람에게 애정을 가지고 있음을 감추려 하지 않는다. 나는 그게 정말 매력적인 거라고 생각한다. 관심없는 척한다거나 반응하지 않는 건 연기에 불과하다. 나는 너에게 반응하지 않음으로써 난 너보다 높은 기준을 갖고 있는 사람이야 라는 식으로 구는 것, 그거야말로 촌스러운 거다.

당신이 보기에도 딱 그런 사람들이 보일텐데, 나도 그런 사람들이 보이면 불쌍하다. 슬플 거고 외로울 거다. 타인에게 말을 거는 것, 다가가는 건 힘든 일이다. 근데 처음이 어려운 거다. 나도 낯을 많이 가려서 사람을 처음 만나면 무슨 말을 해야 할 지 어쩔 줄 몰라 한다. 당신을 처음 만났을 때도 무슨 얘기든 해야 되는데, 가만히 있으면 불편하게 될까봐, 앞으로 더 많은 얘기를 하고 싶은데, 하는 마음에 되게 노력했었다.


내게 여전히 첫만남이란건 어색하고 힘들지만 더 많이 웃고 나를 드러내려고 한다. 그게 내게는 어렵지만 타인에게 다가가기 위해서는 가장 쉬운 쉬운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나는 항상 외롭다. 사람과 많이 만난다고 해서 외롭지 않거나 하는 건 아니지 않나. 인생은 짧기 때문에 내가 교류할 수 있는 사람들을 더 많이 만나자. 라고 생각한다. 사람이 제일 재밌는 것 같다. 정말 재밌다. 물론, 정말 재미없는 사람도 있지.

근데 어느 순간 나도 그런 생각을 했다. 사람은 재밌다. 사람이란 텍스트가 제일 재밌다.

나도 사람을 가려서 사귄다면 그럴 수도 있는데. 나도 여기에 앉아서 몇 시간을 얘기해도 나와 코드가 안 맞다면 내겐 영양가가 없다. 말의 주고받음일 뿐이야. 하지만 내가 하고싶은 얘기를 하고 듣고 싶은 얘기를 들으면 이건 정말 내게 너무 유익한 시간이 된다. 피와 살이 되는. 이건 시간적인 문제가 아니다. 나는 어릴때부터 양보다 질을 추구했다. 먹는 것 빼고. 단시간 내에 무언가를 얻어내는 것. 나는 극도의 심미주의자고 영감이라는 걸 중요시해서 필(Feel)로 사람을 판단하곤 한다. 아 이 사람은 정말 궁금하다! 라고 느끼면 너무 재밌는 거다. 사람이 제일 재밌다. 그래서 사진작가들을 선정할 때도 인물을 다루는 작가들이 많다.

좀 슬픈 건. 난 재밌는 걸 너무나 좋아하는 사람인데. 재미없는 걸 심하게 못 견뎌 하고. 정말로 재밌는 사람은 그렇게 많지가 않다.

나 는 사람에게도 금방 질린다. 그리고 동시에 나 자신도 사람을 금방 질리게 만든다고 생각하고 있다. 사람이 가장 재밌지만 사람에게 가장 큰 상처를 받는다. 당연한 얘기지만. 뭔가 내가 생각했던 이미지에 실망하거나 상처를 받게 되니까 그 전에 내가 먼저 돌아서자! 가 되는 거다.

항상 고민하는 건, 돈보다 사람에 대한 거다. 돈은 발행비 말고는 고민하지 않는다. 항상 사람, 심지어는 잘 모르는 사람에게도 상처를 잘 받는다. 이 사람의 말투에 따라서도 상처를 받는다. 사람들이 내 말투도 상냥한 말투는 아니라고 하는데 상대도 내게 자기방어를 하느라 세게 나온다는 거다. 내게 뭐가 문제가 있었을까. 어렸을 땐 ‘이게 나니까 나를 고수하자.’라고 생각했는데 그렇게 되면 나는 더 많은 사람을 만나고자 하는 내 욕구를 충족시키기가 어려운 거다. 그리고 한편 실망시키고 싶지 않다는 것. 누군가의 환상에 부합하고 싶다. 그 사람한테 그렇게 살면 되는 거니까. 나는 내 자신도 있고, 내 자신이 원하는 김아람으로 살 수 도 있지만 타인이 원하는 부분에 부합하게 그렇게 살아줄 수 있으니까, 좀 다양한 연기를 해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그렇게 살지 않기를 바란다. 골치 아프고, 힘드니까. 변신에 변신을 거듭해야 하니까.



BLINK + Tumblbug

텀블벅에서의 프로젝트는 현재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

현재 애당초 목표로 정해두었던 130만원이 넘었고 200만원도 훌쩍 넘었다. 목표금액은 실 발행비의 3분의 1이지만 액수에 상관없이 많은 분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아 이번 후원 프로젝트는 너무 행복하게 종료할 수 있을 것 같다. 생각해봤다. 어떻게 이렇게 자신의 돈을 기꺼이 타인에게 내어줄 수 있을까. 감사하게도 이건 아마 블링크에 대한 신뢰에서 비롯된 것이라 짐작해보게 된다. 실망시켜드리지 않으려고 한다. 그래서 무한한 책임감이 솟구친다.


지금은 후원자분들의 리스트를 만들고 있다. 책을 만들기 시작하면 책 만드는데만 전념해야 여러분이 기다리시는 책을 조속하게 받아보실 수 있게 되어 얼른 이것부터 정리를 해야한다. 디자인 작업도 시작했고, 작가를 정리하고 있다. 이번에도 피쳐아티스트는 블링크가 그래왔던대로 8명에서 10명정도가 될 예정이다. 블링크 다섯번째 책 발행은 7월 25일전후로 잡고 있다.

텀블벅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한 것이 당신에게 어떤 경험이었나. 재미랄까, 의의랄까. 

텀블벅과의 이번 프로젝트는 조심스러운 면이 많았다. 국내 소셜펀딩에 관련하여 긍정적이지 않았으니까. 또한 실패를 하게 되면 나 자신 스스로에게 실망할 것과 블링크의 이미지실추가 염려되었다. 제의를 받은것은 몇개월전일인데 시작을 하게 된 것은 한달전의 일이다. 결국 시작을 하기로 마음먹은 것은 발행비가 막바지로 달했던 상황도 없지 않아 있지만 텀블벅의 젊은 청춘과 열정에 감탄했기 때문이다. 그들과 함께 하고 싶었다.


나는 텀블벅의 가능성을 굉장히 믿고 있다. 많은 독립창작자들의 아카이브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이에 대해 모르고 있던 사람들에게도 새로운 창작프로젝트를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의 장을 마련해주고 있다고 생각한다.창작이나 예술에 대한 직접적인 수요자를 창출시키고 있잖나. 스스로가 직접적인 예술가나 창작자가 아니어도 그 경험의 선상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하면서 직간접적으로 예술이나 창착의 활동을 경험해볼 수 있는 점을 크게 살 수 있다.
 


지콜론 2011년 5월호에 실린 인터뷰 기사

  블링크는 어떤 책인가?
매달 발행되는 예술사진전문독립잡지 블링크는 매거진의 개념을 넘어선 눈이 즐거운 재기발랄 컨템포러리 아티스트북 프로젝트이다. 분류의 편의상 매거진이라고 정해뒀지만 일반 잡지처럼 취급당할때는 속상하다. 블링크 매호는 ISBN넘버를 부여한 각각의 낱권의 책으로 존재하며 과월호라는 개념이 적용되지 않는다. 표1, 표4 양면 커버, 21 X 29.7 CM판형, 100페이지, COLOR OFFSET인쇄, 내지 180gsm의 아트지를 사용해 소장가치가 뛰어난 사진작품집이라고 해두자.
백문이 불여일견이다. 블링크의 웹사이트에서는 책의 100페이지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영상이 제공되고 있다.

 어떤 의도로 기획되었나?
내가 가진 것은 해외각지의 갤러리스트들과 작가들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다. 나는 이것을 보다 많은 이들과 함께 교류하고 싶다. 대중을 기만하는 지루하고 편협한 국내 사진 전시 현실에 염증을 느껴 시작된 A4사이즈의 갤러리를 만들었다. 국내에서 쉽게 접할 수 없던 해외유명사진작가들의 신작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블링크는 국내 젊은 사진작가들의 해외진출 도모에도 힘쓰고 있다. (소위 잘나간다는 작가들이나 이미 많은 기회를 가졌던 작가들과 함께하면 작품판매부분은 물론 홍보부분에서 편하게 갈 수 있을 것이다. 이미 자신의 입지를 확립한 작가보다는 작업은 뛰어나지만 아직 인정받지 못하는 작가를 후원하고 싶다.) 신선하고 독창적인 해외작품을 국내에 들여오고 국내 젊은 작가들을 해외로 보내는 그 중심에서 가교 역할을 하려 한다.

 블링크의 특징이 있다면? 생각하는 독자층은?
블링크를 A4사이즈의 전시장으로 보고있다. 이 전시장은 전적으로 나 혼자 디렉팅하고 있다. 그래서 나랑 취향이 비슷한 사람들이 블링크를 좋아한다. 사실 특별한 타겟을 책 발행전에 생각해본적은 없다. 내가 보고 싶은 작품, 내가 갖고 싶은 작품을 모아 책으로 만들고 싶었다.(난 아직 몇백만원짜리 작품을 살 경제적 여력이 되지 않기 때문에 일단은 컬렉팅하고 싶은 작품들을 차곡차곡 모아두는 행위라고 보면 되겠다. 나중에 열심히 돈 벌어서 컬렉팅도 하고 싶다.)

 블링크의 디자인과 컨텐츠의 특징은 무엇인가?
디자인의 특징은 앞과 뒤의 구분을 두지 않는 양면커버에 있다. 텍스트를 싣지 않았던 첫번째 블링크에서는 오른쪽부터 혹은 왼쪽부터 펼쳐보아도 완벽하게 순서를 독자 마음대로 정할수가 있었다. 인터뷰 텍스트가 들어가기 시작한 2호부터는 이 부분을 포기해야 했지만. 어쨌든 표1, 표4가 모두 커버가 된다. 그러니깐 제발 오프라인 판매처에서는 두께 8mm의 블링크를 책장에 꽂아놓고 책등 구경시키지 말고 커버로 펼쳐서, 공간이 더 남는다면 양면 모두를 진열해주었으면 좋겠다. 30퍼센트의 수수료를 챙기는 만큼 성의를 좀 보여줬으면 좋겠다는거다.
그리고 텍스트기사는 영문으로 실린다. 한국어를 할 수 있는 사람보다 영어를 할 수 있는 사람이 더 많은 것이라는 계산으로 보다 많은 잠재적인 독자를 확보하는데 유리할 것 같았다. 현재는 따로 번역본을 발행할 돈이 없지만 후에 돈이 모이면 그것도 실행해보려 한다.

 블링크를 보는 독자들과 무엇을 소통하고 싶나?
작품이외의 요소들이 필요없이 오직 사진만으로 보는 이들 스스로가 해석하고 주체적인 감상을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갤러리들이 자주 사용하는 '유명'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자면 블링크의 피쳐아티스트들은 유망한 사진학과를 졸업해 각종 어워드도 섭렵한 실력있는 유명작가들임에는 분명하다. 하지만 학력이나 수상경력을 지면에 기재하지 않음은 그것이 혹여나 사진은 사진으로써만 판단되어지는데에 방해가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때문이다.
“돈” 많고 “학력”좋다는 사람들이 국내전시장을 독점하고 있다. 그런데 작업이 좋으면 또 모르겠다. 초대받은 몇백개의 전시중에 정말 기억에 남는 전시는 손에 꼽을 정도였다. 그리고 이름도 못들어본 외국인 평론가나 작가를 데려다 놓고 ‘유명’하다는 수식어 붙여서 사람들 농락하는 것도 가관이다. 제발 사진은 사진으로만 평가받으려고 했으면 좋겠다. 물론 부연설명이 필요한 작품들도 있을테지만 첫번째는 작품 스스로가 사람들에게 다가가게 해 달란 말이다. 너무 말이 많다. 블링크는 최소한 새로운 것들, 다양한 것들이 숨통 좀 트이게 하는데 일조하고 있다고 본다. 예술은 인간의 유희를 위한 것이다. 다양한 놀이거리를 영위하게 되면 우리는 당연히 보다 새롭고 보다 발전된 형태의 놀이거리를 찾게 된다. 이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는 놀이거리는 당연시 외면받게 될 것이다. 이런 환경이 조성되어야만 기가 막힐 정도의 재미있는 놀이거리들이 다양하게 생겨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현재 국내 사진전시는 전혀 그렇지 못하고 있다. 사람들에게 예술을 놀이거리로 내어주지 않고 전에 갖고 놀았던 것 같은 고만고만한 것들을 또 갖고 놀게 하면서 “이게 정말 재미있는거야. 네가 아직 뭘 몰라서 그래. 이건 정말 재미있는거야” 라고 속이고 있는 것이다. 사람들 속으로는 생각한다. ‘아 재미없어. 지루하다. 근데 내가 지루하다고 하면 무식해보이겠지. 참고 재미있는 척 해야지’ 누가 검증했는지도 모르겠는 ‘유명’이라는 수식어를 걸고 전시장을 장악하는 평론가 및 작가들. 계속해서 그들만을 서포트하는 갤러리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다양한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냔 말이다. 결국 대중은 우물 안 개구리로 머물러 있게 된다.

 향후 계획은?
한 호를 발행할때마다 드는 300만원대의 발행비가 최대의 고민이다. 발행비 뿐만 아니라 각종 면허세, 오프라인 판매처가 가져가는 30퍼센트 수수료와 페이팔 수수료, 발송비 등의 부대비용이 만만치 않다. 발행비 마련을 위해 스무살때부터 해오던 프로모션행사 파트타임을 다시 시작할까 생각중이지만 자비로 충당하기가 빠듯한 것이 사실이다. 첫번째 책은 해외의 갤러리 및 컬렉터에서 발행비 4분의 1정도를 후원받아 발행할 수 있었다. 도네이션은 일단 국내보다는 해외쪽을 염두해두고 있다. 후원도 그렇고 블링크를 헤치지 않는 선에서 광고도 생각하고 있다. 이렇게 수입이 발행비를 넘어서면 가격을 계속해서 낮춰 최종목표는 블링크를 무가지로 만드는 것이다.

일단 1년은 빚을 내서든 어떻게든 버텨보려 한다. 1년도 그렇고 블링크 페이스북 페이지에 십만명이 좋아요 해줄때까지를 두고 보고 있다. 지난달에는 Martin Parr, Nan Goldin, Bruce Weber, Desiree Dolron, Hellen van Meene, Rinko Kawauchi, Yoshitomo Nara 등의 작가들이 참여해 만드는 독일의 한 매거진에서 제휴를 제안받아 다음달부터는 교환광고를 시작하려 한다. 태생 자체가 영업이나 홍보와는 거리가 먼지라 계속 기다리고 두고보자 하며 뒤로 물러나 있었는데 이제는 적극적으로 이것저것 하면서 블링크의 존재를 계속해서 알려나가려고 나도 실질적으로 많이 노력하려 한다.
해방촌이나 안양의 시장에 작은 점빵을 만들어 전시도 하고 블링크도 팔고 작가들및 예술을 공유하고 싶은 이들의 아지트를 만들고 싶다. 원래도 기관지가 좋지 않은데 현재 잠자는 방을 블링크 창고로 이용하고 있어서 현재 책더미에 쌓여 생활하고 있어 많이 불편한게 사실이다. 작업실이 하나 생겼으면 좋겠다.